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피부 근육염 원인, 증상 9가지, 치료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파동여왕 2024. 1. 15.
반응형

피부 근육염 원인, 증상 9가지, 치료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피​부 근육염은 보통 40-50대에 흔히 나타나고 있고 골격근에 염증이 생기는 자가면역 질환이다. 골격을 구성하는 근육에 염증이 나타나고 피부 증세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다발근육염이라고 말한다. 피부 근육염의 증상은 특징적인 피부 병변과 전신 증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특징적인 염증성 피부 병변의 경우 얼굴과 눈 주변이 빨갛게 붓는 증상이 먼저 나타나고, 눈 주위의 근육을 누르면 통증이 같이 동반되기도 한다. 지금부터 피부 근육염 원인, 증상 9가지, 치료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 피부 근육염

피부과 근육 사이에는 근육을 감싸고 있는 근막이 있다. 이 근막은 피부와 근육이 위치한 곳이라면 어느 곳에나 존재하는데, 대부분 온몸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면서 근육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피부근육염은 이 근막에 생기는 염증을 말하며 흔히 알고 있는 자가면역 질환에 속하는 질환이다.

▣ 피부 근육염 원인

피부 근육염은 유전적으로 발병 가능성이 있는 사람이 주변 환경적 요인의 자극을 받으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러스 감염이 질병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 단백질이 침투하면 자신의 특정 단백질과 비슷하다고 여겨 항체를 생성하며, 이 항체들이 근육과 혈관 등 자신의 근육 조직에 손상을 준다. 이처럼 이 질환은 자가면역 질환인 것이다. 한편 성인의 경우에는 피부근육염이 암과 관련되어 발병할 수 있으며, 이는 루푸스와 같은 자가면역 질환과 동반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 피부 근육염 증상 9가지

1. 피부 증상(징후)

손가락 관절 위쪽, 팔꿈치, 무릎, 안쪽 복사뼈 등에 대칭적으로 보라색 홍반이 발생한다.

2. 손, 발톱 주위 모세혈관 확장

손톱 주위에 불규칙한 모세혈관확장과 선상 출혈, 조소피의 비대 혹은 퇴행 위축 변형이 나타난다.

3. 다형 피부증

과다 색소침착, 색소침착 저하, 피부 위축, 모세혈관확장의 4가지 증상이 동시에 동반되고 자색 홍반이 나타나며, 특히 어깨 뒤쪽, 등, 엉덩이, 목의 앞쪽과 가슴에 흔히 발생한다.

4. 전신 증상

근육이 특징적으로 대칭적인 사지의 근위부 근육이 허약해지고 부종과 통증, 압통이 흔히 나타난다. 일상생활의 지장을 줄만큼 계단 오르기, 머리 빗기 등의 행동들이 힘들어지며, 특히 근육이 침범되는 부위에 따라 삼킴 곤란, 발성장애, 호흡곤란 등이 초래될 수 있고 시간이 지나면서 근육의 위축과 구축이 동반될 수 있다.

5. 피부 증상(구진)

구진은 손가락 관절 위쪽에 각질이 일어나면서 자색 구진 형태로 나타난다.

6. 눈 주위 자색 홍반

눈꺼풀, 눈 주위 조직의 대칭적으로 부종과 홍반이 나타나고 주로 위쪽 눈꺼풀에 더 뚜렷하게 관찰되고 압통을 동반한다.

7. 대칭적 자색 홍반

주로 손가락과 손등, 어깨, 목뒤, 앞가슴, 얼굴 이마 중심부, 두피에 자색 홍반이 나타난다.

8. 피부 석회증

손끝에 궤양, 몸에 다모증과 두피 탈모, 두드러기, 다형 홍반이 나타나며 퇴행기에는 청동색 과다색소 침착이 발생한다.

9. 폐 기능 장애

호흡 근육에 의하여 폐 기능이 저하되고 피부 근육 암의 치료제가 폐 기능 장애를 초래하기도 하며, 또한 간질성폐렴이 발생되기도 한다.

▣ 피부 근육염 치료법

- 면역 조절제

정맥용 면역글로불린이 쓰이며, 피부근염에서 근력뿐 아니라 근육 생검상 나타나는 징후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약물의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므로 6~8주 간격으로 다시 주사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 스테로이드

조기 치료로 가장 많이 쓰이는 약물이며, 스테로이드 치료에 대한 반응과 부작용에 따라 더 강력한 면역억제제를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게 된다. 단순히 에너지가 충만한 느낌이나 근육 효소수치의 감소는 치료에 대한 반응이라고 보기 어려우며, 근력의 회복이 중요한 징후이다. 일반적으로 다발성 근육염보다 피부 근육염의 치료 반응이 더 좋은 편이다.

- 면역 억제제

75%의 환자는 스테로이드 외의 면역억제제가 추가로 필요하게 된다. 아자치오프린(azathioprine),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등 다양한 약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