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방귀가 자주 나오는 이유 11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파동여왕 2023. 7. 31.
반응형

방귀가 자주 나오는 이유 11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현대사회의 바쁘게 살아가다 보면 복부 팽만감과 잦은 가스 배출로 민망함을 겪는 순간들이 있다. 보통 사무실에서 오래 앉아서 작업하는 방식이 많은데, 이런 패턴은 대장의 물리적 운동을 저하하게 만든다. 그러면 방귀가 많이 나오게 된다. 위에서 음식물과 기체를 분리하려면 시간이 걸리는데, 그냥 누워버리게 된다면 내장에 다량의 공기가 섞여 들어가면서 가스 발생량이 늘어난다. 지금부터 방귀가 자주 나오는 이유 11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 방귀

방귀를 뀌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신체 현상이다. 방귀는 소화과정에서 생긴 가스를 항문을 통해서 내보내는 것을 의미한다. 음식을 먹을 때 공기도 같이 삼킬 수 있으며 몸속의 박테리아들이 음식을 분해하면서 메탄 수소 이산화탄소 등이 생겨나기도 한다. 이러한 가스들은 트럼이나 방귀로 배출된다.

▣ 방귀가 자주 나오는 이유

1. 지나친 식이섬유 섭취

섬유소가 많은 식품을 지나치게 먹으면 도리어 변을 딱딱하게 하고 가스를 더 많이 생성시킨다. 섬유소 보충제를 먹을때는 반드시 물을 충분히 먹어야 한다.

2. 긴장 및 스트레스

긴장 및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서 몸속의 염증이 증가 된다. 반면 분비샘 기능은 떨어져서 면역세포의 수가 줄고 유해균이 늘어난다. 장 내 환경이 나빠져 가스 발생도 증가되어 방귀가 많이 나오는 이유가 된다.

3. 유해균 증가

장내의 유해균이 많아져 소화기능이 나빠질 경우 냄새가 지독한 가스 발생률이 증가하고 방귀가 자주 나오는 이유가 된다. 위장관에 가스가 많이 차면 복부가 팽팽해지고 숨쉬기가 힘들어진다. 또한 복부 압력이 횡격막을 눌러서 호흡에 지장을 주어 복부팽만감 원인이 되는 것이다.

4. 당도 높은 음식 섭취

당도가 높은 식품을 섭취할 경우 급격히 혈당이 올라 배가 팽만해질수가 있고 이로 인해 복부팽만감 원인이 될 수 있다.

5. 위염, 위장 기능의 저하

복부팽만감 원인은 가스가 많이 차는 경우, 위의 운동능력 저하, 운동장애, 위장의 부종 등이다. 위 운동능력이 떨어지면 명치 부근의 팽만감이 심해진다. 또한 밥을 먹고 나면 답답함이 심해지고 위 점막에 염증이 잘 생긴다. 또한 위장이 약해져 부어오르는 등 전반적인 위 운동 능력 저하로 가스가 발생된다.

6. 장시간 앉는 행동

현대인들이 장시간 앉는 행동은 장 기능이 떨어지면서 잦은 방구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먹고 나서 바로 기대거나 눕는 자세도 이 문제의 원인이 된다. 그 이유는 위에서 음식물과 기체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시간이 필요한데 그 시간 없이 바로 누워버리면 공기가 유입되면서 가스가 발생하는 것이다.

7. 기름진 음식

밀가루 음식, 인스턴트, 붉은 육류 등을 즐겨 먹는 식습관도 당연히 장에 좋지 않다. 이런 음식은 공통적으로 장 속에 오래 체류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오랜 시간 장에 체류하면서 독소를 배출하고 가스를 생성한다. 체내에 수분이 부족해도 소화기관에 부담이 되기 때문에 음식물의 소화를 촉진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을 보충해 준다.

8. 과다 탄산음료 섭취

평소 탄산음료를 자주 마시는 습관도 가스 발생 원인이 된다. 이는 잦은 잔트림과 비슷하게 건강에 좋지 않는다. 장에는 수많은 신경 세포가 존재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아도 방귀량이 늘어나게 된다. 분노나 우울, 불안 등의 심리 상태로 인해 교감신경이 흥분되면 소화가 잘 안 되기 시작한다. 이로써 가스가 유발되고 복부팽만감 등의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긴장 상태에 놓이게 되면 장의 수축이 과하게 일어나는 경우도 있는데 내장 감각이 예민하기 때문이다.

9. 급하게 먹는 습관

음식물을 먹을 때는 충분히 저작 시간을 주지 않고 음식물을 삼키게 되면 덩어리 상태의 음식물이 충분히 소화되지 못하고 대장으로 넘어간다. 그럼 대장이 점막이 자극받으면서 설사와 복통이 발생된다. 장이 부글부글 끓는 느낌을 받기도 하는데 장에 부담을 주어 기체를 과하게 생성하기 때문이다.

10. 단백질 과다 섭취

지나치게 많은 양 먹는다면 문제 일으키는 질소, 황이 늘어날 수 있다. 그래서 적당량을 먹는 것이 좋다고 한다. 하지만 단백질은 우리 인체에서 근육을 형성하고 수분을 조절하는 등의 다양한 주요 역할을 한다. 그래서 과하지 않게 적절 양 공급을 하여 주도록 한다.

11. 체질

식적 체질인 경우 복부에 가스가 많이 찬다. 식적은 음식물이 제대로 소화되지 못하고 체내 머무르는 독소, 노폐물, 가스이다. 누군가는 포드맵 성분을 먹어도 장에서 끄떡없고 편안한 반면에 누군가는 포드맵 음식을 먹으면 흡수를 못하고 장내 오래 머물러서 문제가 생기게 된다. 체질적으로 위장이 약한 사람은 위장의 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 소화흡수가 잘 안 되는 음식을 먹으면, 음식물이 장에 남아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장내 미생물로 의해 발효가 되고 가스를 만들어낸다. 체질적으로 소음인들에게 많이 나타나고, 아랫배가 냉하고 심한 경우 배가 딱딱하고 덩어리가 만져지는 사람들에게 발생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