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아웃증후군과 스트레스 차이점, 증상, 치료법,자가테스트,예방법
치열한 경쟁이 일상이 된 현대 사회에서는 뒤처지지 않기 위해 무한 질주를 해야 한다. 계속되는 야근이나 과중한 업무에 주말에도 제대로 쉬지 못하고 일을 붙잡고 있다. 어떤 일에 몰두하다가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가 계속 쌓여 무기력증, 심한 불안감과 자기혐오, 분노, 의욕 상실 등에 빠질 때가 있다. 특히 조직에서 살아남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30~40대 직장인에게 많이 나타난다. 매일 같은 일상을 반복하며 의욕적으로 일에 몰두하던 사람이 어느 날부터 매우 극심한 정신적, 신체적 피로감을 호소하며 심한 무력감에 빠지는 것이다. 성취욕이 많고 매사 전력을 다하는 성격일 때 이런 상황을 더 자주 겪는다. 지금부터 번아웃 증후군과 스트레스 차이점, 증상, 치료법, 자가테스트,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 번아웃 증후군
번아웃 증후군이라는 용어는 1970년대 Herbert Freudenberger라는 심리학자가 처음으로 사용했다. Freudenberger는 번아웃을 일로 인해 정신과 육체가 고갈된 상태라고 정의하며, 세계보건기구(WHO)는 번아웃을 직장에서 받는 만성적인 스트레스를 제대로 해소하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후군이라고 정의하고, 미국 소재의 유명 종합병원 Mayo Clinic은 성취감이 저하되고, 개인 정체성을 상실하고, 신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고갈된 상태라고 정의한다.
▣ 번아웃과 스트레스 차이점
◈ 번아웃
- 관계를 끊고 참여하지 않는 것들이 특징
- 감정둔화
- 무력감과 절망감
- 동기이상희망정신 상실
- 분리와 우울증
- 1차 피해는 감정적
- 살아갈 가치가 없다고 느낌
◈ 스트레스
- 과도한 조울과 참여가 특징
- 감정 과도한 반응
- 절박함과 과도한 행동
- 에너지 손실
- 불안장애
- 1차피해는 물리적
- 스트레스로 사망까지
▣ 번아웃 증후군 증상
- 매사에 점 점 더 냉소적이고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우
- 세상과 분리되어 혼자 있는 느낌이 드는 경우
- 면역력 저하와 잦은 질병 치레를 하는 경우
- 잦은 두통이나 근육통이 있는 경우
- 만족감과 성취감이 떨어지는 경우
- 동기를 상실하고 무력감과 실패감, 자기 의심이 드는 경우
- 식욕이나 수면 습관엔 변화가 생긴 경우
- 하루 대부분의 시간 동안 피곤하고 기진맥진함을 느끼는 경우
▣ 번아웃 증후군 치료법
번아웃증후군을 극복해 내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현재 번아웃 상태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의 여건에 따라 실현 가능하게 목표를 설정ㅎ아고, 자신이 진행하고 이쓴 일을 되도록이면 충분히 줄여 일적으로, 마음적으로 여유를 가져야 한다. 번아웃 증후군은 오랜 시간 동안 자신도 모르게 서서히 오기 때문에 해결되는 것도 단시간에 좋아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일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자신의 마음상태를 잘 들여다 보고 자신의 내면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좋다. 또한 번아웃증후군으로 신체적 이상 증세가 없는지, 자기혐오에 빠지지는 않았는지 잘 살펴보고 자신이 원하는 운동, 여행, 취미생활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풀고 여유롭게 재충전의 시간을 충분히 갖도록 노력해야 한다.
▣ 번아웃 증후군 테스트
점수 방식은 전혀(1점), 드물게(2점), 때때로(3점), 자주(4점), 매우 자주(5점) 계산한다.
- 내 직업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
- 작은 문제나 동료와 팀에 쉽게 짜증을 낸다.
- 대화할 사람이 없는 것 같다.
- 성공해야 한다는 심한 압박감을 느낀다.
- 내가 잘못된 조직이나 직업에 속해있다고 느낀다.
- 조직의 정치나 관료주의가 내 능력을 방해한다고 느낀다.
- 좋은 퀄리티의 일을 하기 위한 시간이 너무 없다고 느낀다.
- 지치고 육체적 또는 정서적 에너지가 고갈되었다고 느낀다.
- 사람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것보다 동정을 못 받고 있다.
- 동료로부터 오해를 받거나 인정받지 못한다고 느낀다.
- 내가 해야 할 일에서 덜 성취하고 있다고 느낀다.
- 직장에서 내가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한다고 느낀다.
- 내 일의 일부분에서 좌절한다.
- 실제로 할 수 있는 능력보다 해야 할 일이 더 많다고 느낀다.
- 원하는 만큼 계획을 세울 시간이 없다.
◈ 결과
- 15~18점(번아웃의 징후가 없다.)
- 29~32점(일부 요인이 심각하지 않는 한, 소진의 징후가 거의 없다.)
- 33~49점(유의해야 하며 번아웃의 위험이 있다.)
- 50~59점(심각한 위험이 의심되며 조치를 취할 것을 권한다.)
- 60~75점(매우 위중한 위험이 있으며 빠른 조치가 필요하다.)
▣ 번아웃 증후군 예방법
- 음악감상, 독서 등 취미생활을 한다.
-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 친구, 가족들과 만남을 갖고 관심 있게 대화를 나눈다.
- 일주일에 2~3회 30분 이상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 자주 웃는 습관을 기른다.
- 적절한 체중을 유지한다.
- 충분한 휴식시간을 가진다.
- 과도한 업무 목표 설정을 하지 않는다.
- 술, 담배, 커피 카페인 음료를 피한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몸의 중금속을 배출하는 음식에 대해서 알아보자. (1) | 2023.03.16 |
---|---|
성조숙증(남아,여아) 원인, 증상, 치료법,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3.03.14 |
위장을 달래주는 음식 10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3.03.03 |
겨드랑이 액취증 원인, 증상, 치료법, 수술방법,예방법 (0) | 2023.02.28 |
손목건초염 원인, 자가진단, 증상, 치료방법, 관리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 2023.0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