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 진단,증상,전염성,치료방법,예방접종가격
요즘 같이 갑작스러운 계절변화가 일어나면,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대상포진이 찾아오기 쉽다. 대체로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완화되지만, 60대 이상 중장년층은 완치 이후에도 대상포진 후 신경통을 겪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대상포진은 어렸을 때 수두를 앓았던 사람의 몸에 남아있던 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urs)가 다시 활성화돼 피부와 신경절(말초신경의 신경세포체가 모여있는 곳)을 따라 통증을 동반한 발진이 생기는 질환이다. 60세 이상에서는 40%, 70세 이상에서는 50%정도가 대상포진 후에도 신경통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미국 질병관리본부(CDC)에 따르면, 국민 3명 중 1명이 일생 동안 한 번의 대상포진을 겪는다. 우리나라에서도 한 해 동안 약 50만 명이 진단 및 치료를 받을 만큼 대상포진은 흔하다. 대상포진은 몸의 한쪽(편측)에만 발생하는 물집과 극심한 통증이 특징이다. 지금부터 대상포진 진단,증상,전염성,치료방법,예방접종가격에 대해서 알아보자.
▣ 대상포진 진단
대상포진은 피부에 병변이 드러나지 않은 채, 전구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 발생 부위에 따라 다른 질병으로 오해하기 쉽다. 얼굴에 발생하는 대상포진의 경우 두통으로 생각하기 쉽고, 옆구리에 발생하는 경우 요로결석이나 담석으로, 사지를 침범하는 경우에는 몸살, 근육통이나 디스크로 오해하기 쉽다. 이러한 경우 대상포진으로 진단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몸의 특정 신경절에 한하여 증상이 발생하거나, 살이 스치기만 해도 아픈 이상감각이 동반되거나, 피로하고 무리한 후 발생하였다면 대상포진을 의심하여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만일 피부 병변이 나타났다면 그 임상 양상만 가지고도 충분히 진단이 가능하다.
▣ 대상포진 증상
대상포진에 걸리면 극심한 통증과 함께 신체에 띠 모양의 발진과 수포가 발생한다. 대상포진이 띠 모양을 이루는 것은 피부에 분포한 신경세포의 배열을 따라 발생하기 때문이다. 전신에 흩어져 발생하는 수두와는 달리 대상포진은 몸의 좌우측 중에서 어느 한쪽 부위에만 띠 모양을 이뤄 나타난다. 일부 환자들은 초기에 발열 증상과 함께 전신의 무력감을 호소하기도 한다. 드물게 통증은 있지만 피부에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발진과 수포가 돋아난 지 1~2주가 지나면 진물이 흐르는 물집에 딱지가 앉기 시작한다. 이후 딱지가 앉은 피부 상태가 호전되면서 일반적으로 통증도 수 주 이내에 사라진다. 하지만 일부 환자들은 수포가 없어진 몇 달 혹은 몇 년 뒤에도 심한 통증으로 고생하기도 한다. 이것을 대상포진 후 동통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통증 장기화 현상은 60세 이상에게 흔히 발생한다.
▣ 대상포진 전염성
이미 수두를 앓은 적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전염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전에 수두를 앓은 적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전염될 수 있다. 만약 수두를 앓은적이 없는 사람이 대상포진을 앓고 있는사람과 접촉했다면 발병 차단을 위해 수두 예방접종을 받는 것을 고려해 볼수 있다.
▣ 대상포진 치료방법
대상포진 치료는 수포 발생 3일 ~ 5일 이내에 항바이러스제를 일주일 정도 주사하면 대부분 완치되며, 동시에 진통제 등을 투여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치료 시작이 늦거나 고령인 경우 또는 암이 있는 경우에는 주사치료 후에도 통증이 계속될 수 있다. 이 기간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한 달에서 일 년 정도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더 오래 지속될 수 있으며, 단 항바이러스제는 거의 전체의 약이 신장을 통해 배설되기때문에 신부전증 등의 환자에서는 약제의 용량을 조절해야한다. 대상포진 환자를 접촉했다고해서 이 병이 전염되지는 않지만, 이전에 수두를 앓은 경험이 없는 사람, 혹은 어린이나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에게는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격리하는 것이 좋다. 이 질환이 한 번 발생했다고 면역이 생기는 것은 아니며 다시 생길 가능성도 있지만 재발율은 0.1~1%정도에 불과합대상포진을 가장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백신접종이다. 백신은 어릴 때 수두에 걸린 이후 몸 속에 잠복해있던 바이러스가 다시 활성화되는 것을 예방하며 50대 이상 성인이 접종 대상이다. 최근에는 여러가지 항바이러스제의 개발로 이 병의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그러나 대상포진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만큼 현재까지 바이러스를 완전히 퇴치할 수 있는 약은 없기때문에 초기에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하고 포진 후 신경통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대상포진 예방접종시기 및 가격
주로 50대이상 중장년층에게 접종을 권하고 있다. 최근에는 젊은 20대에게도 늘어나고 있어 미리 맞는 것을 추천한다. 또한 이전에 대상포진에 걸렸던 사람도 백신 접종이 가능하며, 치료 후 최소 6~12개월 이후에 가능하니 전문의와 상담 후 결정하는 것이 좋다. 대상포진 백신은 주로 수입산 백신인 조스타박스과 국내 백신인 스카이조스터주를 취급하고 있으며, 접종방법은 1회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대상포진 예방접종이 가능한 병원과 보건소마다 접종 비용이 다른데, 일반적으로 백신 비용은 보통 15만원에서 20만원 정도로 책정되어 있다. 또한 지자체마다 대상포진 예방접종 비용을 일부 지원하거나, 특정 나이 이상은 무료로 해주는 지자체도 있으니 사전에 각 지역별로 알아보는 것을 추천한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콜의존성(중독) 원인, 증상, 자가진단, 치료법, 합병증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2.10.28 |
---|---|
안면홍조 원인,증상,진단,얼굴빨개지는단계,치료법,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2.10.27 |
미세먼지 건강수칙9가지, 환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3) | 2022.10.24 |
눈떨림 발생 원인7가지 및 좋은음식 7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1) | 2022.10.14 |
크론병 원인,진단,증상,자가진단,치료법,식단관리법 (0) | 2022.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