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들레 효능2

민들레 효능 11가지,부작용,민들레차 만드는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민들레 효능 11가지,부작용,민들레차 만드는방법 민들레는 시토스테롤, 콜린, 이눌린, 펙틴, 비타민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동서양을 가리지 않고 그 약효를 인정받고 있다. 시토스테롤은 동맥경화 예방에 좋고 하며, 콜린은 간염, 간경화 등 간질환 환자의 치료약으로 쓰인다. 이눌린 성분은 당뇨에 좋아 유럽에선 오래 전부터 고혈압 치료제로 민들레를 사용했다고 한다.중국에서는 용도가 다양해서 6대 약초 중 하나로 손꼽힐 정도로 많이 쓰이고 있다. 민들레에는 흰민들레, 좀민들레, 산민들레, 털민들레, 서양민들레 등 여러 종류가 있다. 도시 근처에서 자라는 서양민들레는 효능이 떨어진다. 흰 꽃보다는 노란 꽃이 좋다. 4 ~ 6월에 전초와 뿌리를 채취하여 물에 씻어 그늘에 말려 쓴다. 백색 즙이 나오는 시기에 .. 2022. 11. 20.
약이 되는 식물 3가지 및 효능 ▣ 약이 되는 식물 3가지 및 효능 1. 구기자 구기자차는 수천 년 동안 전해 내려오는 강장보약의 대표적인 것이다. 어느 집에서나 쉽사리 재배할수 있는 약초가 구기자나무다. 구기자 나무는 다년생이기 때문에 한번 심으면 매년 수확할 수 있다. 전혀 신경을 쓰지 않아도 잘자라기 때문에 집 주변이나 울타리에 심어 주면 된다. 어린잎을 따서 데쳐 나물이나 국을 만들어 먹어도 좋고, 성장한 잎을 말려서 약으로 써도 좋다. 8~9월경이 되면 조그만 고추모양의 빨간 열매가 생기는데, 이것을 구기자라고 하며 말려 두면 비싼약이 된다. 뿌리 껍질을 지골피라고 하는데, 이것도 약재가 된다. 구기자는 나무,잎,열매,뿌리가 모두 약이 되며, 버릴 것이 하나도 없다. 구기자나무는 우리나라 아무데서나 자라며 따뜻한 남쪽 지방은 .. 2021. 9. 7.